주식 VI,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뜻과 발동 조건 및 차이점 총정리

이 글에서는 주식 시장에서 갑작스러운 변동성을 완화하는 안전장치인 VI,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뜻과 발동 조건, 그리고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시장 안전장치의 필요성

주식 시장은 경제 상황, 기업 실적, 글로벌 이슈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끊임없이 변동합니다. 이러한 변동성은 투자자들에게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제공하지만, 때로는 예측 불가능한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인해 시장 전체가 혼란에 빠질 수 있습니다.

특히, 극단적인 상승이나 하락은 투자 심리를 흔들고 비합리적인 매매를 유발하여 시장의 안정성을 위협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주식 시장에서는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안전장치는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이 냉정하게 판단할 시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으로 VI(변동성 완화장치), 서킷브레이커, 그리고 사이드카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며, 각각의 목적과 작동 방식이 다릅니다. 이 장치들은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고,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VI란 무엇인가?

VI 뜻

주식 시장에서 VI(Volatility Interruption, 변동성 완화장치)는 특정 종목의 급격한 가격 변동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주식 매매 시 냉정하게 판단할 시간을 제공하며,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발동 조건

  • 정적 VI
    • 특정 종목이 시초가 대비 10% 이상 급등하거나 급락할 경우 발동됩니다.
    • 발동 후 2분 동안 단일가 매매 방식으로 거래가 진행됩니다.
  • 동적 VI
    • 직전 체결 가격 기준으로 2~3% 이상 벗어나는 경우 발생합니다.
    • 발동 후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됩니다.

서킷브레이커

서킷브레이커 뜻

주식 시장에서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는 시장 전체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안전장치입니다. 이는 주가 지수가 일정 수준 이상 급락했을 때 거래를 일시 중단시켜 시장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투자자들에게 냉정하게 판단할 시간을 제공합니다.

서킷브레이커는 개별 종목이 아닌 시장 전체를 대상으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VI와 차이가 있습니다.

서킷브레이커 발동 조건

1️⃣단계 발동

  • 종합주가지수(KOSPI 또는 KOSDAQ)가 전일 대비 8% 이상 하락이 1분간 지속될 경우 발동됩니다.
  • 발동 후 20분간 모든 거래가 중단되며, 이후 10분간 단일가 매매 방식으로 거래가 재개됩니다.

2️⃣단계 발동

  • 지수가 전일 대비 15% 이상 하락 시 1단계와 동일한 절차로 발동됩니다.
  • 20분간 거래 중단 후, 10분간 단일가 매매가 진행됩니다.

3️⃣단계 발동

  • 지수가 전일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발동되며, 이 경우 당일 모든 거래가 종료됩니다.

사이드카

사이드카 뜻

사이드카(Sidecar)는 주식 시장에서 프로그램 매매로 인한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된 장치입니다. 서킷브레이커와 마찬가지로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이지만, 프로그램 매매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사이드카는 시장 전체가 아닌 프로그램 매매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시장 충격을 방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사이드카 발동 조건

  • 코스피/코스닥 선물 가격의 급등 또는 급락
    • 선물 지수가 전일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할 경우 발동됩니다.
    • 급격한 변동이 1분 이상 유지되어야 작동합니다.
    • 발동 시 현물 시장에서 프로그램 매매가 5분간 중단됩니다.
사이드카 뜻과 발동 조건: 2025년 4월 코스피·코스닥 사이드카 발동 사례로 알아보기

VI•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 차이점

구분VI
(변동성 완화장치)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
사이드카
(Sidecar)
적용 범위개별 종목광범위
(시장 전체 거래 중단)
프로그램 매매
(선물 시장과 현물 시장 간 연계 차단)
발동 기준정적 VI: 시초가 대비 10% 이상 급등/급락
동적 VI: 직전 체결 가격 대비 2~3% 이상 변동
– 1단계: 지수 8% 이상 하락
– 2단계: 지수 15% 이상 하락
– 3단계: 지수 20% 이상 하락
+ 1분간 지속시
– 코스피200 선물 가격이 기준 대비 5% 이상 상승/하락
– 코스닥150 선물 가격이 기준 대비 6% 이상 상승/하락
+ 1분 이상 지속시
작동 방식단일가 매매로 전환 (2분간)주식 시장 전체 거래를 20분간 중단프로그램 매매를 5분간 일시 중단
발동 빈도상대적으로 자주 발생극단적인 상황에서만 발동상대적으로 자주 발동 가능
효과특정 종목 안정화 및 투자자 판단 시간 제공시장 패닉 방지 및 전체 안정화선물 시장 충격 완화 및 현물 시장 안정화
투자자 영향특정 종목 거래 제한모든 거래가 중단되어 투자자 활동이 완전히 멈춤프로그램 매매 제한으로 일부 거래에만 영향을 미침
대표 사례개별 종목 급등락 시 발동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등 극단적 상황에서 발동선물 지수 급등/급락 시 자주 발동

마치며

주식 시장은 예측하기 어려운 변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때때로 급격한 가격 변동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VI(변동성 완화장치), 서킷브레이커, 그리고 사이드카는 시장의 혼란을 완화하고 투자자들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VI는 개별 종목 투자 시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변동을 제어하므로, 특정 주식에 집중 투자하는 경우 이를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서킷브레이커는 시장 전체가 급락하는 상황에서 작동하므로, 대규모 악재나 글로벌 금융 위기 시 이를 확인하고 대응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 사이드카는 선물 시장과 현물 시장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프로그램 매매를 감안한 투자 전략을 수립할 때 중요합니다.

🗂️ 참고 및 출처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