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크리에이터란, 지역의 특색과 장소성을 살려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지역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업가로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브랜드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로컬크리에이터 뜻과 요건, 7대 분야를 알아보고, 정부의 정책 및 지원사업을 알아보겠습니다.
로컬크리에이터란?
로컬크리에터 뜻
로컬크리에이터란, 지역을 뜻하는 로컬(local)과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람을 뜻하는 크리에이터(Creator)가 합성된 형태의 신조어입니다.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는 용어였는데, 중소벤처기업부 활성화 지원 사업에서 ‘지역가치 창업가‘라고 명명되었습니다.
‘지역가치 창업가‘는 지역의 자연환경, 문화적 자산을 소재로 창의성과 혁신을 통해 사업적 가치를 창출합니다.
2020년 홍대거리, 가로수길, 경리단길 등 ‘ㅇ리단길’이라 불리는 골목길이 전국적으로 생기면서 골목상권이 발달하면서 생겨났습니다.
낙후된 도시의 재생하고 지역을 새롭게 혁신하는 존재로 인정받고 있으며, 젊은 세대들의 창업 및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사원도 점점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 모종린 교수님 : ‘지역에서 활동하는 소상공인’, ‘골목 상권 등 지역 시장에서 지역 자원, 문화, 커뮤니티를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소상공인’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이병민 교수님 : 지역관광, 문화 및 자원을 기반으로 기업 모델을 접목시켜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가치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이라고 했습니다. 경제적으로 국한하기 보다는 문화.경제 공간의 관점에서 인문학적 의미로 개념을 탐색하고 지방도시의 실직적인 정책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로컬크리에이터 정의와 요건
🟩 정의
- 지역의 자연.문화 특성과 아이디어를 결합해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창업가.
- 지역 고유의 특성과 자원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창업가로 7대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로 분류
🟩 요건
- 지역의 자원과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자 : 지역의 유・무형 자원 (역사전통, 문화예술, 자연생태, 생활문화, 산업경제, 지역특산물 등)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자.
-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하는 자 : 지역의 자원과 특성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비즈니스모델 수립을 통해 창업하는 자.
-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자 : 지역의 자원과 특성을 활용하여 나타난 성과를 지역에 환원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자.
🟩 7대 유형(분야)
① 지역가치, ② 로컬푸드, ③지역기반제조, ④ 지역특화관광, ⑤ 거점브랜드, ⑥ 디지털문화체험, ⑦ 자연친화활동
로컬크리에이터 7대 분야
① 지역가치
- 지역가치 : 지역의 문화나 고유 특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융합하여 새로운 경제적·문화적 가치를 창출
- 기대효과 : 플랫폼과 더불어 콘텐츠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므로, 지역을 콘텐츠화하여 다양한 비대면 비즈니스모델 창출이 가능.
- 사례 : 대구 김광석 홀로그램 – 故 김광석 홀로그램을 통한 문화공연.
② 로컬푸드
- 로컬푸드 : 지역의 재배 가능한 농수산물(특산물, 미활용 작물 등)을 활용한 식품가공 및 유통, 지역의 특화된 제조 공법과 IT.생명공학 기술을 융합.
- 기대효과 : 위생적인 환경에서 재배되는 스마트팜이나, 농수산 산지와 연결된 구독경제, 종자개발부터 유통‧제조‧판매 등이 다양하게 결합된 6차산업 발전.
- 사례 : 충북 작은 알자스 – 충주의 특산품인 사과로 스파클링 와인 개발.
③ 지역기반제조
- 지역기반 제조 : 지역에서 생산되는 소재를 활용하거나 지역특색을 반영한 제조업
- 기대효과 : 수공업과 DIY 활동 증가가 예상되며, 이를 로컬 제조업으로 육성
- 사례 : 통영 폐자재 예술품 – 조선시대 나전칠기 12공방의 명맥을 잇고 통영 지역의 전통공예 제작
④ 지역특화관광
- 지역특화 관광 : 관광 자원(자연환경, 여행지 등)을 활용하여 해당 지역으로 관광객 유입 확대, 지역 방문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및 자연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
- 기대효과 : VR 등을 활용한 가상 관광, 체험 등의 관광 수요증가 예상
- 사례 : 제주 다자요 – 지역의 빈집을 재생, 특색 살린 숙소 코워킹 공간 제공
⑤ 거점브랜드
- 거점브랜드 : 지역 내 복합문화공간 등 지역거점 역할, 지역성과 희소성을 기반으로 지역의 가치를 재창출, 지역성과 보편성의 조화로 전국적 확대
- 기대효과 : 쇼핑은 온라인 쇼핑으로 대체, 오프라인 소비는 단순소비보다는 가치소비(Meaning Out)가 중요해져 지역별 거점브랜드 육성이 필요.
- 사례 : 강원도 칠성 조선소 – 속초의 폐 조선소를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⑥ 디지털문화체험
- 디지털 문화체험 : 지역별로 역사와 문화가 담긴 유적지와 문화재 등을 과학 기술 및 ICT를 활용하여 재해석 또는 체험 (시간여행)
- 기대효과 : AR, VR 등과 결합된 디지털 문화체험 콘텐츠 시장 확대 예상
- 사례 : 서울 석조전 미디어파사드 – 석조전에 미디어파사드 기법을 활용한 영상 제작
⑦ 자연친화활동
- 자연친화활동 : 지역별로 상이한 자연환경(바다, 산, 강 등)에서 진행되는 서핑, 캠핑 등 아웃도어 활동을 위한 다양한 사업모델
- 기대효과 : 집단적 활동(테마파크 등)보다는 가족 또는 나홀로 단위의 레저활동(캠핑, 글램핑 등)
- 사례 : 강원도 서피비치 – 서핑 전용해변 조성, 유명 해변축제 유치로 연 30만명 이상 방문
로컬 정책 및 지원사업
✅지역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
- 지역의 특성과 자원에 아이디어와 혁신 기술을 접목하여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로컬크리에이터 발굴, 육성.
- 7개 유형으로 세분화하고 성장 단계별로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멘토링, 마케팅 등에 필요한 사업화 자금 및 프로그램 지원
- 로컬크리에이터의 역량 강화 및 지역 기반 혁신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로컬크리에이터 협업 지원 신설. (2021.하반기~)
- 로컬크리에이터 고도화와 판로 지원을 위해 플랫폼 기업과의 협업
- 야놀자, 텀블벅, 우아한 형제들 등 플랫폼 기업과 로컬크리에이터가 ‘1주일 살기’, ‘로컬 펀딩 기획적’, ‘전국별미 서비스’ 등 과제를 공동으로 기획
- 로컬크리에이터와 지역에 기반한 제조, 유통 인프라 및 노하우를 보유한 향토기업 간 협업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 제주 기업 ‘한라산’과 술을 테마로 콘텐츠 제작, 문화공간 조성 등 프로젝트 추진
- 로컬크리에이터끼리 아이디어 교류를 통해 지역 가치를 창출
- 로컬크리에이터 고도화와 판로 지원을 위해 플랫폼 기업과의 협업
- 로컬크리에이터가 지역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성장하여 지역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투자 연계 지원.
- 지역 엔젤투자허브를 통해 투자자와 로컬크리에이터간 접점을 확대하고, 전용 펀드로 로컬크리에이터 대상 초기투자 지원
- 모태 펀드 출자를 기반으로 조성하는 ‘소셜임팩트펀드’ 투자 대상에 추가 (‘22~ )
✅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
- 브랜드화 및 인재육성 : 유니콘 기업을 지향한다는 의미의 ‘라이콘’으로 브랜드화하고, 콘텐츠 개발역량이 우수한 창의인재 발굴·육성
- 로컬콘텐츠 대학, 콘텐츠기반 장인대학, 지역창업가 양성프로그램, 직주락형 혁신 허브 등 지역 거점별로 생활분야 창의인재 집중 양성.
- 지역도시공간 재창조 : 지역 고유자원 활용 창업공간 조성, 중심·골목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특화재생 연간 15곳 추진
- 스토어 브랜드 개발, 특화거리 조성, 상권 컨설팅 등 공간조성 프로그램 통합 지원하여 로컬크리에이터 활동 공간 구축
✅ 지역기반 로컬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 사업
- 사업목적 : 로컬크리에이터 간 협업을 통해 지역 자원(경제적 및 문화적 확산)의 활용 가치 제고 및 지역 창업의 생태계 활성화 도모
- 지원대상 : 3개사 이상으로 구성된 팀
- 지원내용 : 지역의 새로운 가치 창출 및 지역 창업 활성화를 위해 기획 및 운영하는 협업 과제에 소요되는 자금 지원
- 선정현황 :
- 2020. 06. 140개팀 선정
- 2020. 10. 140개팀 선정
- 2021. 06. 250개팀 선정
- 2022. 04. 170개팀 선정
- 2023. 04. 100개팀 선정
마무리
로컬크리에이터는 지역의 특색과 장소성을 살려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지역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업가입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브랜드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며, 정부와 지자체 또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지역의 가치를 높이고 지역사회와 연결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의 새로운 가능성을 기대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 참고자료
- 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 (2021년~2023년)
-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 (2023년 ~ 2025년)
- 정책용어사전
- Belocal
- K-Startup https://www.k-startup.go.kr/
- 포커스-이병민님 칼럼
삼삼 + ɑ
보기 좋게! 읽기 쉽게!
삼삼하게 기록합니다!